본문 바로가기
고대 한국사의 미스테리/고조선의 역사

역사학자들이 바라본 패수 논쟁 속 패수의 위치-고조선과 한나라의 국경 경계선 패수는 어디였을까 ②

by 캐쉰 2024. 1. 30.
728x90
반응형

먼저 포스팅에 이어서 역사학자들이 바라본 패수 논쟁 속 패수의 위치-고조선과 한나라의 국경 경계선 패수는 어디였을까 ②편을 진행하겠습니다.역사학자들이 바라본 패수의 위치는 정확히 어떠했는지 좀 더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더보기

목차

 

1.이병도가 주장한 패수 청천강설

1-1.패수 청천강설에 따른 한나라와 고조선의 경계

1-2.노태돈, 이종욱, 오강원의 패수 압록강설

1-3.서영수, 박준형, 오현수, 조원진의 패수혼하설

1-4.북한 리지린의 패수대릉하설

2.함께 읽으면 좋은글

 

1.이병도가 주장한 패수 청천강설

 

역사학자들이 바라본 패수 논쟁 속 패수의 위치-고조선과 한나라의 국경 경계선 패수는 어디였을까 ②

 

한백겸은 동국지리지에서 패수를 청천강에 비정했으며, 이를 사학자 이병도가 고고학적으로 고증,중국 계통 유물(명도전이나 철기 등)과 조선 계통 유물(세형동검 등)의 출토지가 청천강을 경계로 뚜렷이 구분되고 있다고 주장했으며 이병도는 청천강 이남으로 제한된 세형 동검의 출토 범위와 한반도 북부까지 진출한 연의 흔적(연화보 - 세죽리 문화권)과도 대강 합치한다며 청천강설을 주장하는데 위의 지도는 이병도의 패수 청천강설에 따른 진과 고조선의 국경을 표시하고 있습니다.보통 청천강 설의 경우 연나라와의 경계를 청천강으로 여겨지고 진과의 국경선은 더 한반도 안쪽에 있다고 봅니다.그런데 만일 고조선과 한 나라의 국경선이 저리 된다면 대동강 이북에 왕검성(왕험성)이 있는 것은 상당히 어색하기에 왕검성이 대동강 남안, 즉 낙랑토성 부근에 있었다고 해야합니다.

 

1-1.패수 청천강설에 따른 한나라와 고조선의 경계

 

역사학자들이 바라본 패수 논쟁 속 패수의 위치-고조선과 한나라의 국경 경계선 패수는 어디였을까 ②

 

패수 청천강설에 따른 한나라와 고조선(이 시점에는 이미 위만조선)의 국경 경게선을 표시한 지도로 당시 한나라는 먼 곳을 지키기 힘들어 요동의 옛 요새를 고치어 패수를 경계로 했다 합니다. 패수 청천강 설에 따르면 패수는 청천강이니 국경도 청천강입니다. 

 

 

반응형

 

 

1-2.노태돈, 이종욱, 오강원의 패수 압록강설

 

역사학자들이 바라본 패수 논쟁 속 패수의 위치-고조선과 한나라의 국경 경계선 패수는 어디였을까 ②

 

노태돈 교수에 따르면 연진장성의 동단이 요하 이동까지 미쳤으므로 패수를 요하 이서에서 찾을 수는 없고 요하 동쪽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또한 진의 침식선을 청천강으로 보는데 연의 침식선은 천산산맥 일대로 보며 이 경우, 왕검성(왕험성)이 대동강 북안에 위치했다고 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그리고 명도전을 비롯한 중국계 유물의 분포가 청천강을 경계로 하므로 청천강이 진나라와의 경계였다고 주장하며 또한 중국은 진나라 이후 한나라 때 경계를 후퇴하여 패수를 경계로 했는데 이때 패수로 비정할 수 있는 강은 압록강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주장하는 등 패수 압록강설은 현재 남한 학계의 다수설이기도 합니다.

 

1-3.서영수, 박준형, 오현수, 조원진의 패수혼하설

 

역사학자들이 바라본 패수 논쟁 속 패수의 위치-고조선과 한나라의 국경 경계선 패수는 어디였을까 ②

 

혼하는 요하 바로 동쪽에 있는 강으로, 소요하라고도 불리는데 혼하설을 최초로 주장한 사람은 조선 후기의 문신 성해응(1760~1839)으로 연경재전집권 15 패수변에서 고조선의 패수는 혼하라는 것을 논증했으며 근현대에 들어서 남한에서는 서영수가 혼하설을 최초로 주장했으며 이후 박준형은 전한기의 기록을 근거로 혼하설을 주장하였는데 패수 혼하설은2010년대부터 학계의 대세로 떠올랐습니다.

 

1-4.북한 리지린의 패수대릉하설

 

역사학자들이 바라본 패수 논쟁 속 패수의 위치-고조선과 한나라의 국경 경계선 패수는 어디였을까 ②

 

패수 대릉하설은 리지린을 포함한 여러 북한학자가 주장한 설입니다.북한 학계에서는 1960년대 이후 지금까지도 대릉하설이 주류 학설이며 남한에서는 신용하가 이 설을 지지합니다.여기에 윤내현의 패수난하설까지 존재하는데 패수난하설은 다음 시간에 좀 더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함께 읽으면 좋은글

 

2024.01.29 - [고대 한국사의 미스테리/고조선의 역사] - 역사학자들이 바라본 패수 논쟁 속 패수의 위치-고조선과 한나라의 국경 경계선 패수는 어디였을까 ①

2024.01.27 - [고대 한국사의 미스테리/고조선의 역사] - 고조선 단군왕검 신화에 대한 역사적이면서 매우 사실적인 해석 ②

2024.01.26 - [고대 한국사의 미스테리/고조선의 역사] - 고조선 단군왕검 신화에 대한 역사적이면서 매우 사실적인 해석①

2024.01.25 - [고대 한국사의 미스테리/고조선의 역사] - 고조선의 건국과 탄생-역사학자들이 본 고조선과 중국의 경계선 및 최대 영토 ②

2024.01.24 - [고대 한국사의 미스테리/고조선의 역사] - 고조선의 건국과 탄생-역사학자들이 본 고조선과 중국의 경계선 및 최대 영토 ①

 

728x90
반응형